728x90
서론: 반복 작업을 줄이기 위한 자동화 준비
운영 환경에서 서버 패치나 서비스 재시작 같은 반복 작업은 실수 가능성이 높고, 시간이 많이 소모됩니다.
자동화를 구축하기 위한 핵심 도구 중 하나가 Jenkins입니다.
Jenkins는 웹 기반 자동화 실행 환경을 제공하여, 버튼 클릭만으로 복잡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Jenkins 설치 환경
- OS: Rocky Linux 9.5
- JDK: OpenJDK 17
- 설치 방법: dnf + 공식 repo
1. 시스템 업데이트 및 기본 패키지 설치
dnf update -y
dnf install -y wget curl unzip
2. Java 17 설치 (Jenkins 구동을 하려면 필수 설치)
dnf install -y java-17-openjdk
java -version
3. Jenkins 설치를 위한 리포지토리 추가
dnf install -y epel-release
dnf config-manager --add-repo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
rpm --import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io-2023.key
4. Jenkins 설치 및 서비스 실행
dnf install -y jenkins
systemctl enable --now jenkins
systemctl status jenkins
5. 방화벽 설정 (선택)
기본 포트는 8080입니다. 테스트 목적이라면 방화벽을 꺼도 되지만, 운영환경에서는 적절한 포트 허용이 필요합니다.
systemctl stop firewalld
systemctl disable firewalld
6. 초기 접속 비밀번호 확인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7. 웹 접속
브라우저에서 http://[서버IP]:8080
으로 접속하여 초기 설정을 마무리합니다.
결론
Jenkins는 앞으로 Ansible 작업을 웹 UI에서 실행하고 스케줄링할 수 있는 핵심 도구로 사용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Ansible을 설치하고 Windows 서버와 연동하는 과정을 소개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Ops - Ansible로 Windows 서비스 자동화 구축하기 – YAML 구성과 실행 흐름 분석 (2편) (1) | 2025.04.11 |
---|---|
DevOps - Ansible로 Windows 서비스 자동화 구축하기 – 수작업 없이 패치·롤백·재시작까지 (1편) (0) | 2025.04.10 |
DevOps - Ansible 설치 및 Windows 서버 연결 (Rocky Linux 9.5 기준) (0) | 2025.04.09 |
DevOps - Synology DSM 7에서 Docker를 활용한 SVN 서버 구축 및 복원하기 (0) | 2025.02.17 |
DevOps - Zabbix Agent2로 SSL 인증서 만료 모니터링 설정하기 | 자동 알림 및 트리거 활용 (0)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