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스템관리

Monitoring Tools - Zabbix로 Windows 사용자 암호 만료 7일 전 알림 설정 방법 (배치 파일 활용) Windows 시스템에서 사용자 암호가 만료되기 전 알림을 받고 싶다면 Zabbix와 배치 파일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Zabbix와 배치 파일을 활용해 Windows 사용자 암호가 만료되기 7일 전에 알림을 받는 방법을 설명합니다.이를 통해 보안 규칙을 준수하고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1. 배치 파일 코드 설명 (CheckUserPasswordExpiration.bat)먼저 아래 배치 파일 코드를 확인해 봅시다. 이 스크립트는 특정 사용자의 암호 만료일을 확인하고, 현재 날짜와 비교하여 암호 만료일이 7일 이내로 다가온 경우 알림을 생성합니다.@echo offFOR /F "tokens=4-6 delims=- " %%d in ('net user 계정명 ^| find /i ".. 더보기
Windows - WindowsServer2022 MariaDB Tomcat 최적화 - DB WAS OS 성능 튜닝 가이드 MariaDB와 Tomcat 서버가 한 대의 서버에서 함께 동작하는 환경에서, 성능 최적화하여 효율적인 자원 관리와 성능 향상을 위한 각종 설정을 소개합니다.작업 서버 정보OS : Windows 2022 서버 기준DB: MariaDB 10.6.16 기준WAS: Apache Tomcat 8.5 기준 (JAVA 17 사용)1. MariaDB 튜닝 (DB) 설정1.1 my.ini 설정MariaDB는 메모리 사용량과 쿼리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DB 엔진입니다.특히, InnoDB의 버퍼 풀과 로그 파일 크기 설정은 성능에 큰 차이를 만들기 때문에 적당히 할당해주셔야 합니다. [mysqld]# 데이터베이스 경로 및 포트 설정datadir=D:/MariaDB/dataport=3306# 메모리 및 캐시 관련 설정 .. 더보기
Linux - 리눅스 CentOS 7 이상에서 rc.local 실행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 활성화 가이드 /etc/rc.local 에 스크립트를 넣고 재부팅후에 실행이 되지않아 확인해보니 7이상부턴 따로 활성화 해야 합니다. 왜 rc.local이 비활성화되었는가?CentOS 7은 부팅 과정과 시스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해 SysVinit 시스템 대신 systemd를 도입했습니다.systemd가 의존성 관리, 병렬 실행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rc.local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었습니다. rc.local 활성화 방법1. rc.local 파일에 실행권한 부여# chmod +x /etc/rc.d/rc.local 2. rc-local.service 파일 생성 # vi /etc/systemd/system/rc-local.service아래 내용 추가[Unit]Description=/etc/rc.d/rc.local.. 더보기
Linux - 리눅스 Kernel(커널)이란? | 커널 개념 & 역할 정리 [Kernel 정의]운영체제(OS)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컴퓨터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 사이를 연결해 주는 인터페이스시스템에 존재하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상호작용은 하지 않고 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대표적으로 Shell이 있다. Shell 이 궁금하다면? [OS/Linux] - Linux - 리눅스 Shell(쉘)이란? | 쉘 종류 & bash, csh, ksh 비교[Kernel의 기능]프로세서 관리  - 운영체제의 처리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프로세서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도 커널에서는 관리해야 할 자원이고, 운영체제의 처리 요구에 맞춰 동작하도록 각 프로세스에 필요한 프로세서를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수행하도록 관리한다.프로세스(Task) 관리.. 더보기
Linux - 리눅스 YUM 패키지 관리자 사용법 & 명령어 정리 (DNF 비교 포함) YUM이란 Yellowdog Updater,Modified 의 약자로서 rpm 기반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동 업데이터이면서 패키지 설치 / 삭제 도구입니다. 또한 YUM은 자동적으로 의존성을 처리해 주며 rpm 패키지들을 안전하게 설치 / 삭제 / 업데이트 해주는 편리한 도구입니다.yum help를 치면 사용방법과 옵션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yum [옵션] [명령] [패키지명]ex) yum -y install openssl // openssl 패키지를 모두 '예' 처리하여 설치합니다. yum check-update-> 현재 인스톨된 프로그램 중에 업데이트 된 것을 체크해줍니다.yum clean all-> 캐시 되어 있는 것을 모두 지웁니다.yum deplist-> yum 패키지에 대한 의존성 테스트y.. 더보기
Linux - 리눅스 Crontab (크론탭) 설정 & 자동 실행 방법 Crontab1. cron이란 :     일정시간마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데몬입니다. (Windows 의 작업스케줄러와 유사함)2. crond 설정     크론(cron)의 설정은 /etc/crontab에서 합니다. (모든 계정으로 관리해야 할 경우)  옵션   -e : 설정된 파일을 새롭게 편집   -r : 등록된 내용을 삭제   -l  : 현재 등록된 내용을 본다 3. crontab 파일 형식  ----------         ----------  ------------------------------------------------------   필  드            의  미         범  위  ----------         ----------  -------------.. 더보기
Linux - 리눅스 런 레벨(Run Level) 개념 & 실행 모드 정리 런레벨(Run level)이란, 시스템 관리의 용이함을 위하여 서비스의 실행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 0 - hal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시스템 종료를 의미합니다. 즉, 런레벨 0으로 변경하라는 명령을 내리면 시스템을 종료하게 됩니다. * init 0 / shutdown -h now / half 처럼 시스템 종료 하는 명령어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 1 - Single user mode 시스템 복원모드라고도 하며, 기본적으로 관리자 권한 쉘을 얻게 됩니다. 주로, 파일시스템을 점검하거나 관리자 암호를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 2 - Multiuser mode, without NFS (The same as 3, if you do ot hav.. 더보기
Linux -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완벽 정리 | 파일 시스템 개념 설명 리눅스 파일 시스템 구조리눅스 시스템의 디렉토리 구조는 전체적으로 역 트리(tree)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명령어의 종류와 성격, 사용권한등에 따라 각각의 디렉토리들로 구분됩니다. 리눅스 배포판들은 '리눅스 파일시스템 표준' 인 FSSTND(LINUX FILE System Standard) 라는 표준을 준수하므로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들은 그 기본 골격이 같습니다./(루트)최상의 디렉토리인 루트 디렉토리를 의미하며 리눅스의 모든 디렉토리들의 시작점입니다. 모든 디렉토리들을 절대경로로 표기할 때에 이 디렉토리로부터 시작해야합니다./bin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토리로 리눅스 시스템 사용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라고 할 수 있는 mv, cp, rm 등과 같은 명령어들이 이 디렉토리에 존재하며 roo..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