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명령어 썸네일형 리스트형 Linux - 리눅스 서버 정보 확인 명령어 모음 | CPU, 메모리, 디스크 & 네트워크 체크 [ 시스템 정보 ] 1.1 OS 정보# uname –a // 리눅스 커널정보, 머신명, 프로세서 타입, 플랫폼, OS 정보를 표시# grep . /etc/*-release // 리눅스 버전 표시# cat /proc/version // 커널 버전 표시# dmidecode | grep Name // 서버 모델명 표시# dmidecode | grep Serial // 시리얼번호 표시1.2 CPU 정보# cat /proc/cpuinfo // CPU 정보 표시# lscpu# dmesg | grep CPU1.3 메모리 정보# cat /proc/meminfo // 메모리 정보 표시# dmesg | grep memory# dmidecode -t memory# free -m1.4 디스크 정보# df -h /.. 더보기 Linux - 리눅스 RPM 패키지 매니저 사용법 | 필수 명령어 가이드 RPM (RedHat Package Manager)초기 리눅스에선 모든 패키지를 tar와 gzip등 압축되어 있는 소스 파일을 직접 컴파일한 후 수동 설치해 사용했다. A 패키지를 설치해서 사용하기 위해 B 패키지가 필요한 경우 B 패키지를 우선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인 RPM이 등장하게 되었다. RPM을 이용하면 패키지 자동 설치(컴파일해줌)까지는 도와주나 설치에 필요한 패키지까지는 설치되지 않는다.의존 패키지까지 설치해주는 명령어 : 2023.02.01 - [OS/Linux] - Linux - yum RPM 명령어 사용법rpm [옵션] [rpm 패키지 파일 / 패키지 이름] 1. 설치 관련 옵션 : -i (--install) : 패키지 설치 시엔 -i .. 더보기 Linux - 리눅스 파일 권한 관리 | chmod, chown, chgrp 명령어 가이드 chmod 명령어파일이나 디렉터리의 권한(퍼미션)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chmod [옵션] [퍼미션] [파일]옵션-c: 변경된 파일만 자세하게 보여준다.-f: 변경되지 않은 파일에 대해서 오류 메시지를 보여주지 않는다.-v: 작업상태를 자세히 보여준다.-R: 경로와 그 하위 파일들을 모두 변경한다. // (주로 많이 사용)--help: 도움말을 출력한다.--version: 버전 정보를 보여준다. chmod 명령어를 알기 전 리눅스에서 파일(File)이 가질 수 있는 권한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 (r = read)파일에 데이터를 쓰기 (w = write)파일 실행 (x = execute)특정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부여된 권한을 알아보려면 ls -l 을 사용하거나 파일의 .. 더보기 Linux - 리눅스 Crontab (크론탭) 설정 & 자동 실행 방법 Crontab1. cron이란 : 일정시간마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데몬입니다. (Windows 의 작업스케줄러와 유사함)2. crond 설정 크론(cron)의 설정은 /etc/crontab에서 합니다. (모든 계정으로 관리해야 할 경우) 옵션 -e : 설정된 파일을 새롭게 편집 -r : 등록된 내용을 삭제 -l : 현재 등록된 내용을 본다 3. crontab 파일 형식 ---------- ---------- ------------------------------------------------------ 필 드 의 미 범 위 ---------- ----------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