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mcat

WAS - Tomcat으로 여러 서비스 운영하는 방법 (도메인·포트 기반 설정 및 메모리 최적화) 서버 환경에서 여러 서비스를 하나의 Tomcat에서 구동할지, 아니면 서비스별로 독립적인 Tomcat 인스턴스를 사용할지는 운영 환경의 특성에 따라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중 서비스를 운영할 때 도메인 기반, 포트 기반 구분 방식과, Tomcat 메모리 설정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Tomcat에서 다중 서비스 운영 - Host와 Port 구분 방식Tomcat에서 여러 서비스를 구동할 때 가장 기본적인 방식은 도메인 기반과 포트 기반으로 구분하는 방법입니다.1. 도메인 기반 구분도메인 기반 구분은 하나의 Tomcat 인스턴스 내에서 여러 도메인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구분하는 방식입니다.service1.example.com, service2.example.com과 같은 도메인으로 각각의 서비스를 .. 더보기
Linux - 일반계정으로 1024이하 포트 사용방법 (setcap / getcap) 리눅스에서 1024 이하의 포트는 일반적으로 root 권한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보안 이유로 인해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웹 서버(Apache 또는 Tomcat)를 실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때 capabilities 기능을 사용하여 일반 사용자도 root 권한 없이 1024 이하의 포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Capabilities란?root 계정은 모든 권한을 갖고 있지만 일반 사용자 계정에게 root 권한을 부여하지 않으면서 특정 작업을 허용하려면 capabilities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oot 권한을 나누어 특정 작업(예: 포트 바인딩)을 수행할 수 있게 해 줍니다.특히 cap_net_bind_service라는 권한을 사용하면 일반 사용자도 1024 이하의 포트(“p.. 더보기
Tomcat8 - JSESSIONID 세션 충돌 문제와 해결 방법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 후 다른 페이지로 이동해도 계속 로그인이 유지되는 이유는 바로 세션(Session) 덕분입니다. 세션은 서버가 사용자 정보를 기억하고, 사용자가 서버와의 연결된 동안 일관된 상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서버는 JSESSIONID라는 쿠키를 발급하는데, 동일한 서버에 여러 톰캣을 설치하거나 한 톰캣에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면 예상치 못한 세션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션이란 무엇인가?세션(Session)은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정보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로그인하면, 그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서버가 기억하고 있다가 다른 페이지로 이동해도 로그인이 유지되도록 합니다.이 세션 정보를 .. 더보기
Linux - 리눅스 Tomcat7 설치 방법 | JDK 설정, 방화벽 & 서비스 등록까지 Tomcat7 설치 전 JDK 설치1. 설치 가능 확인          # yum list java*jdk-devel 1-1. 설치          # yum –y install java-1.7.0-openjdk-devel*1-2. 톰캣 다운로드           #wget http://archive.apache.org/dist/tomcat/tomcat-7/v7.0.50/bin/apache-tomcat-7.0.50.tar.gz1-3. 톰캣 압축해제 및 이동           # tar -zxvf apache-tomcat-7.0.50.tar.gz           # mv apache-tomcat-7.0.50 /home/samso/tomcatTomcat 실행 시 문제가 생긴 것 같으면 로그를 확인 해보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