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S/Linux

Linux - Too many open files 오류 해결 방법 "too many open files" 오류가 발생하여 리눅스에서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오류는 시스템이 동시에 열 수 있는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의 제한을 초과했을 때 발생합니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 또는 소켓과 같은 리소스에 대한 참조를 나타내며, 시스템 전체에서 고유한 번호로 식별됩니다. 오류 메시지는 "too many open files" 또는 "open: Too many open files"와 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해결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1. open files 최대 개수 확인 : 최대 개수를 확인하려면 ulimit -a 명령을 사용합니다. ulimit -n 으로 확인해도 됩니다.. 더보기
Linux - SSH 포트 변경 방법 | 22번 대신 보안 강화하는 설정법 Linux에서 SSH 포트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SSH(Secure Shell)는 원격으로 Linux 시스템에 액세스 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기본적으로 SSH는 22번 포트를 사용하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포트를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 참고사항: 이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반드시 root 또는 sudo 권한을 가진 사용자로 로그인해야 합니다. 또한, 포트 변경한 후에 새로운 포트로 연결할 수 있도록 방화벽 설정 등을 수정해야 합니다. 1. SSH 구성 파일 편집SSH 포트를 변경하려면 먼저 SSH 구성 파일을 편집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Linux 배포판에서는 OpenSSH 서버를 사용하므로, 해당 구성 파일을 편집합니다. 텍스트 편집기로 sshd_config 파일을 엽니.. 더보기
Linux - 압축하기 / 압축풀기 (tar, tar.gz, gzip, bzip2) 리눅스는 압축하거나 관리할 파일들을 먼저 하나의 파일로 묶은 뒤, 압축을 해서 용량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아카이빙 Archiving :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하나로 묶는다압축 Compression : 우리가 알고 있는 압축 (디스크가 사용하는 용량을 줄여준다) 1. tartar는 "tape archive"의 약자로 Unix 및 Linux 운영 체제에서 많이 사용되는 아카이브 유틸리티입니다.tar [옵션] [아카이브 파일명] [파일 또는 디렉토리]자주 사용 옵션설명-ftar 아카이브 파일 이름을 지정-ctar 아카이브 생성 (create) - 파일을 묶음-xtar 아카이브에서 파일을 푼다-v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줌-ttar 아카이브의 파일을 보여줌-zgzip으로 압축하거나 해제함-jbzip2으로 압축하.. 더보기
Linux - 리눅스 설치 시 RAID 인식 안될 때 (CentOS 7) / HP DL360, DL380 DL360 G6에 RAID5를 구성해서 설치하려는데 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해서 멘붕에 빠진 적이 있습니다. RAID를 잡으면 인식이 안되고 RAID를 해제하면 인식되고.. 찾아보니 RAID드라이버가 없어서 발생했습니다. Install CentOS 7을 선택한 상태에서 'Tab'을 눌러 CentOS7 설치 옵션에 하기 내용을 추가하니 디스크가 인식 됐습니다.hpsa.hpsa_simple_mode=1 hpsa.hpsa_allow_any=1부팅 옵션에 값을 넣고 설치하면 됩니다.-- 부팅 시 하드디스크를 못 찾는 경우가 발생하면 부팅옵션에서 "e"키를 눌러 crashkernel=auto rhgb hpsa.hpsa_allow_any=1을 다시 입력하여 부팅합니다. 부팅이 되면 #vi /etc/default/gru.. 더보기
Linux - 리눅스 서버 정보 확인 명령어 모음 | CPU, 메모리, 디스크 & 네트워크 체크 [ 시스템 정보 ] 1.1 OS 정보# uname –a // 리눅스 커널정보, 머신명, 프로세서 타입, 플랫폼, OS 정보를 표시# grep . /etc/*-release  // 리눅스 버전 표시# cat /proc/version //  커널 버전 표시# dmidecode | grep Name  // 서버 모델명 표시# dmidecode | grep Serial  // 시리얼번호 표시1.2 CPU 정보# cat /proc/cpuinfo  // CPU 정보 표시# lscpu# dmesg | grep CPU1.3 메모리 정보# cat /proc/meminfo  // 메모리 정보 표시# dmesg | grep memory# dmidecode -t memory# free -m1.4 디스크 정보# df -h  /.. 더보기
Linux - 용량 확인 명령어 (du, df) 업무를 하다 보면 OS 디스크 사용량이 90% 초과하고 있다는 알림 또는 전화를 받습니다. // 보통 Log파일 용량이 매우 큼리눅스에서 현재 서버의 용량을 알아보는 명령어로는 du와 df 가 있습니다.참고) 로그 파일을 주기적으로 삭제하고 싶다면?  로그 파일의 용량을 줄이고 싶다면? 1. 디렉토리 용량 확인(du 명령어)특정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du 명령어를 이용하면 됩니다. du [옵션] [디렉토리경로]옵션 -a : 디렉토리 내 파일의 모든 정보 포함하여 출력  -m : 결과를 MB 단위로 출력 -h :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용량의 단위로 표시 (KB, MB, GB 등)  // 가장 많이 사용 -l : 하드 링크의 용량도 포함하여 출력 -s : 사용량 총합계만 출력 // 가장 .. 더보기
Linux - 네트워크설정(IP / DNS 설정) 서버로 쓸 OS는 보통 동적 IP 할당인 DHCP를 사용하지 않고 정적 IP를 사용합니다.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설정에 관련된 파일들을 수정하여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해 봅니다.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란? IP주소와 게이트웨이 또는 네임서버의 주소를 자동 할당해 주는 프로토콜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파일/etc/hosts/etc/resolv.conf/etc/sysconfig/network/etc/sysconfig/network-scripts/{인터페이스 파일}/etc/hostsIP와 Hostname을 매칭시켜주는 파일로 OS가 도메인을 찾을 때 제일 먼저 읽는 파일입니다.* 강제로 도메인 지정해서 테스트할 수 있음 /etc/resolv.conf.. 더보기
Linux - 서버 간 파일 복사 명령어(scp) / 원격 파일 복사 리눅스(Linux)에서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는 cp가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서버 간 파일 복사가 필요하면 scp 명령어를 사용하는데 scp 명령어는 secure copy의 줄임말입니다. scp 명령어 사용법 1. 로컬 서버 -> 원격 서버로 전송# scp [옵션] [원본 경로 및 파일] [계정명]@[서버 IP]:[복사할 경로 및 파일] 2. 원격 서버 -> 로컬 서버로 전송# scp [옵션] [계정명]@[서버 IP]:[원본 경로 및 파일] [복사할 경로 및 파일] 옵션-P : 포트 번호 지정(ssh 포트)  // 주로 많이 씀-p : 원본 권한 속성 유지하여 복사-r : 디렉토리 내 모든 파일/디렉토리 복사  // 주로 많이 씀-c : 압축 복사-v : 복사 과정 출력-a : 아카이브 모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