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자동화 썸네일형 리스트형 DevOps - Jenkins로 Ansible 자동화 트리거하기 – 웹 기반 운영 자동화 구축기 (3편) 웹 UI로 운영 자동화를 확장하다CLI에서만 실행되던 Ansible 작업을 Jenkins와 연동하면서, 웹 기반의 클릭 운영 자동화 구조로 완성했습니다.PATCH / ROLLBACK / RESTART로 나누고, 필요시 target_id를 입력해 특정 서비스만 재시작하도록 구성했습니다.Jenkins 설치와 기본 연동설치 방식: dnf 사용sudo dnf install jenkinssudo systemctl enable --now jenkins설치 후 포트(기본 8080)를 통해 Jenkins 웹 UI 접속이 가능합니다.[DevOps] - DevOps - Rocky Linux 9.5에 Jenkins 설치하기 (자동화 서버 구축 시작)Ansible 연동 구조 요약Jenkins Job에서 shell 명령어로 a.. 더보기 DevOps - Ansible로 Windows 서비스 자동화 구축하기 – YAML 구성과 실행 흐름 분석 (2편) 자동화 구성은 결국 '코드'로 드러납니다1편에서는 왜 자동화를 하게 되었는지, 어떤 기준으로 구조를 설계했는지를 다뤘습니다.[DevOps] - DevOps - Ansible로 Windows 서비스 자동화 구축하기 – 수작업 없이 패치·롤백·재시작까지 (1편)이번 글에서는 그 자동화가 실제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YAML 중심으로 설명합니다.패치, 롤백, 재시작은 작업 목적만 다를 뿐, 구성 원칙은 동일합니다.파일 단위로 역할을 나눈 이유Playbook을 단일 파일로 만들 수도 있지만, 우리는 아래와 같은 이유로 분리 구조를 택했습니다.재사용성 – 서비스 단위 작업을 별도로 구성 가능가독성 – Playbook이 간결하게 유지됨디버깅 용이 – 실패한 단계 추적이 쉬움Linux 제어 서버에서 폴더 탐색 후 W.. 더보기 DevOps - Ansible로 Windows 서비스 자동화 구축하기 – 수작업 없이 패치·롤백·재시작까지 (1편) 운영 환경에서 반복 작업이란?Windows 기반 시스템에서 서비스 프로세스의 배포나 롤백은 자주 발생하는 작업입니다.특히 서비스가 수십 개 이상일 경우, RDP 접속 → 서비스 중단 → 파일 복사 → 서비스 재시작 같은 수작업이 반복됩니다.이러한 방식은 운영자의 리소스를 소모시키고, 동일 작업 반복에서 오는 실수 가능성을 높입니다.자동화를 고민하게 된 계기처음에는 단순히 '좀 더 편하게(효율적으로) 배포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시작했습니다.그러나 실제 환경에 맞춰 생각해 보니 다음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들이 보였습니다.작업 순서가 중요함 – 서비스 간 의존 관계(예: 제어 서비스 → 하위 서비스)가 존재일관되지 않은 수작업 – 운영자마다 방식이 다르고, 실수 시 재해복구도 번거로움작업 이력 관리 부족 – 누.. 더보기 이전 1 다음